Crescendo Code
텍스트 블록 안에 하위 페이지 추가 및 링크 걸기 본문
텍스트 블록 안에 하위 페이지 추가 및 링크 걸기
노션은 텍스트, 페이지, 이미지 등 객체 하나하나가 레고처럼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만약 텍스트 블록 안에 그 내용의 일부로서 페이지 블록을 넣고 싶다면,
즉 인라인 페이지를 생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럴 땐 '+' 기호와 '[[' 기호를 사용하면 된다.
'+' 기호와 '[[' 기호의 공통 기능
'+' 기호와 '[[' 기호는 텍스트 블록 내에 인라인 페이지를 생성한다.
그와 관련된 기본적인 기능은 두 기능이 매우 유사하여 대부분 어느 쪽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두 기호가 하는 대표적인 기능은 크게 생성과 링크로 나누어지며 아래 목록과 같다.
1. 현재 페이지에 새로운 하위 페이지를 생성 후, 그 페이지를 텍스트 블록 안에 인라인 페이지로 추가
2. 이미 존재하는 하위 페이지를 현재 페이지의 인라인 텍스트 블록 안에 링크
3. 다른 페이지에 새로운 하위 페이지를 생성 후, 그 페이지를 현재 페이지의 텍스트 블록 안에 인라인 페이지로 링크
▶ 1. 현재 페이지에 새로운 인라인 하위 페이지를 생성
기호('+' 또는 '[[') 입력 → 페이지명 입력 → 새 "페이지명" 하위 페이지를 클릭
이 경우 현재 페이지에 새롭게 지정한 이름의 하위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텍스트 블록 안에 표기된다.
▶ 2. 이미 존재하는 하위 페이지를 현재 페이지의 인라인 텍스트 블록 안에 링크
기호('+' 또는 '[[') 입력 → 페이지 키워드 입력 → 링크할 페이지 클릭
키워드를 통해 이미 존재하는 페이지를 검색 후 링크하는 방식이다. 링크의 경우 페이지에 '↗' 문양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아이콘' 이라는 이름의 하위 페이지를 링크하는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다.
▶ 3. 다른 페이지에 새로운 하위 페이지를 생성 후, 그 페이지를 현재 페이지의 텍스트 블록 안에 인라인 페이지로 링크
기호('+' 또는 '[[') 입력 → 페이지명 입력 → 새 "페이지명" 페이지 추가를 클릭
3번의 경우 1번과 비슷하지만 조금 차이점이 있다.
페이지 생성 작업은 현재 페이지에서 진행하지만, 페이지는 다른 페이지의 하위 페이지로 생성된다.
생성한 페이지가 다른 페이지의 하위에 있기 때문에 텍스트 블록 안에 인라인으로 넣을 때에도 링크 형태(↗)로 삽입된다.
'+' 기호와 '[[' 기호의 차이점
그렇다면 두 기호의 차이점은 뭘까? 사실 이렇다 할 큰 차이점은 없다.
소소한 차이는 있지만 기능면에서는 거의 완벽히 호환되어있기 때문에 어느쪽이든 취향껏 쓰면 될 것이다.
그래도 몇 가지 짚어보자면 아래 목록과 같다.
▶ '+' 기호는 기호만 입력했을 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는다. 즉, '+' 기호는 '키워드'와 함께 사용해야한다.
반면 '[[' 기호는 기호만 입력해도 현재 존재하는 페이지들을 나열해준다.
이 때, 나열된 페이지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페이지의 링크 페이지를 즉시 생성한다.
▶ '+' 기호는 추가 목록이, '[[' 기호는 링크 목록이 위에 표기된다.
아마 목적에 따른 편의의 차별점을 부여하기 위해 기능이 나누어진게 아닐까 예상해본다.
'+' 기호는 그 기호의 의미만큼이나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 하는데에 더 비중을 두었고,
'[[' 기호는 키워드의 유무와 상관없이 페이지 링크 목록이 상단에 표시되는 걸 보아 빠른 '링크' 서치 기능에 더 비중을 둔 것 같다.
기능적으로는 '+' 기호나 '[[' 기호 모두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취향껏 골라서 사용하면 될 것 같다.
'기타 Tools > No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션 인라인 데이터베이스와 전체 페이지 데이터베이스간의 전환 (0) | 2025.02.20 |
---|